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1 of 39
Download to read offline
한국정책학회 동계학술대회 발표자료

박근혜 정부 과학기술

정책 구조 및 방향성
2013. 12. 6

차두원, 김윤종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정책기획실
목차
I. 주요 과학기술 정책방향
II. 제3차 과학기술기본계획
III. 향후 정책 추진 실효성 강화 방안

1
I. 주요 과학기술 정책방향

2
창조경제 실현 위한 과학기술 역할
창조경제 개념

창조경제 실현을 위한 과학기술 역할
경제
부흥
2017년 1인당 국민소득
3만 달러 견인

국민
행복
삶의 질 향상 추구

3

창조경제
기반
선도형 연구개발 체계로
패러다임 전환
1. 국민소득 3만 달러 달성
 국민소득 2만 달러의 덫

 2007년 2만 달러 수준 진입 후 현재까지 상승이 없는 상태
 지난 4년간(2007-2011) 1인당 국민소득 증가율이 연평균 1% 수준
 향후 3%미만(2.9%) 증가율이 계속되면, 3만 달러 도달에 10년 이상 소요될 전망
 선진 23개국은 2만 달러에서 3만 달러 진입 시 평균 5.2%의 증가율로 평균 8.0년 소요

 2017년 3만 달러 달성을 위해서는 잠재성장률 4% 이상 유지 필요

 과학기술혁신에 기반한 생산성 향상, 내·외수 선순환 경제구조 고도화 필요

4
2. 삶의 질 향상 요구 증가
 물질적 측면에서 정신적 측면을 중시하는 가치관과 소비 성향이 변화
 2013년 행복지수(IMD) 평가결과 우리나라는 59개국 중 22위
<국민이 원하는 국가전략기술 선정기준>

(KISTEP, 일반국민 1,000여명 대상 설문조사, 2012.2)

 우리나라는 경제성장 목적 투자비중이 선진국에 비해 높은 수준

<주요국의 경제 사회 목적별 정부 연구개발 예산현황>
5
3. 선도형 연구개발 패러다임 전환
 추격형 연구개발 한계에 봉착

 주력산업 경쟁력 약화와 ICT산업 이후 신성장산업 발굴 및 육성 지체
 선도형 패러다임 특성

 기초연구 강조, 창의적 인력양성, 지식재산 중심R&D 전략, 개방형 기술혁신 활성화 등
선도형

추격형
• 응용, 개발연구 중심
• 인력 양적 확대
• 지적재산 소홀
• 폐쇄형 기술혁신

현상
- 신성장산업 창출 지연
- 기술무역 적자 확대
- 선진국 기술 견제 심화

• 기초연구 강화
• 창의적 인력 양성
• 지식재산 중시
• 개방형 기술혁신

<선도형 연구개발로 패러다임의 전환>

6
II. 제3차 과학기술기본계획

7
과학기술기본계획 개요
 과학기술분야 범부처 최상위 국가 종합계획
 과학기술기본법에 의거하여 5년 단위로 정부가 의무적으로 수립⋅시행하는
과학기술 분야 범부처 종합계획

 (과학기술기본법 제7조) 국가과학기술위원회는 5년마다 관계 중앙행정기관의
과학기술관련 계획과 시책 등을 종합하여 기본 계획을 수립 및 추진
< 과학기술기본계획 필수포함사항 >
1. 과학기술의 발전목표 및 정책의 기본방향

9. 과학기술인력 양성 및 활용 증진

2. 과학기술혁신 관련 산업정책, 인력정책 및

10. 과학기술지식과 정보자원 확충⋅관리 및

지역기술

유통체제 구축 혁신정책 등의 추진방향

3. 과학기술투자의 확대

11. 지방과학기술 진흥

4. 과학기술 연구개발 추진, 협동연구개발 촉진

12. 과학기술 국제화 촉진

5. 기업⋅대학, 연구기관 등 과학기술혁신 역량 강화

13. 남북 간 과학기술 교류협력 촉진

6. 연구 성과의 확산, 기술이전 및 실용화 촉진

14. 과학기술문화 창달 촉진

7. 기초연구의 진흥

15. 민간부문 기술개발 촉진

8. 과학기술교육의 다양화 및 질적 고도화

16. 그 밖에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과학기술진흥 사항

(출처) 과학기술기본법 제7조 3항 및 동법 시행령 제4조
8
국정과제-창조경제실현계획-과학기술기본계획 정책 영역
[ 박근혜 정부의 국정과제 (2013.5) ]
∙ 경제민주화

∙ 민생경제 등

[ 과학기술기본계획 (2013.7) ]

∙ 과학기술 기반 국민안전 실현 등

∙ 지식재산 창출∙보호∙활용 생태계

∙ 과학기술 기반 일자리 창출

∙ 기술창업 지원

∙ 산학연 협력 강화

∙ 연구개발 투자 확대

∙ 중소기업 기술혁신 지원

∙ 창의인재 양성

∙ 과학기술인 처우개선

∙ IT융합 신산업 창출

∙ 과학기술 지역 발전 기여

∙ 과학문화 확대

∙ 미래 성장동력 확충 지원

∙ 창의문화 조성 등

∙ 과학기술 외교강화 등

∙ 기초연구 지원
∙ R&D 시스템 효율화 등
∙ 창조경제 문화조성(창조경제타운) 등

[ 창조경제 실현계획(2013.6) ]
9
제2차 기본계획의 범위 확대

INPUT

PROCESS

10

OUTPUT
비전

성과목표

추진전략

과학기술 하이 파이브(High 5)

11
주요 성과 목표
국가전략기술 경쟁력 제고

과학기술 혁신역량 순위

R&D 경제성장 기여율

과학기술인력 일자리 창출

삶의 질 투자 향상

과학기술을 통한

“경제부흥과
국민행복 실현”
12
High 1. 국가 연구개발 투자 확대 및 효율화
■ 향후 5년간 총 정부 R&D 총 92.4조원 투자 ■



창조경제 Seed Money인 연구개발투자 지속 확대

 17년까지 8.1조원을 추가 투입(‘13년 정부 R&D예산안 대비)
 민간 R&D투자 활성화를 위한 조세지원* 지속추진
* 재정여건에 따라 예산편성 과정에서 조정될 수 있음



투자 재검증 → 예산절감 → 전략분야 집중투자 등 투자 효율화



선도형 기획-관리-평가 시스템으로 개편



과학기술 인프라의 개방과 공유 활성화

13
High 2. 국가전략기술개발
■ 5대분야 120개 국가전략기술 개발 ■

01

02
지속적
경제성장 견인

IT융합 신산업 창출

미래성장동력 확충

03

04

05

삶의 질
향상 기여
깨끗하고 편리한
환경 조성

건강장수 시대 구현

14

걱정 없는
안전사회 구축
High 2. 국가전략기술개발
 30대 중점 전략기술
1

지식정보보안기술

16

맞춤형 신약개발기술

2

지식기반 빅데이터 활용기술

17

유용 유전자원 이용기술

3

차세대 유무선 통신네트워크기술(5G등)

18

식량자원 보존 및 식품가치창출기술

4

융합서비스 플랫폼기술

19

우주발사체 개발기술

5

지능형 인터렉티브 기술

20

고부가가치 선박기술

6

첨단철도기술

21

이산화탄소포집∙저장∙이용기술

7

첨단소재기술(무기∙유기∙탄소 등)

22

오염 물질 제어 및 처리기술(수질, 대기 등)

8

초고집적 반도체 공정 및 장비기술

23

고효율 에너지 빌딩기술

9

초정밀 디스플레이 공정 및 장비기술

24

미래첨단도시 건설기술

10

환경친화 자동차기술

25

줄기세포기술(분화·배양·치료)

11

태양에너지기술

26

건강관리서비스기술

12

스마트그리드기술

27

자연재해모니터링·예측·대응기술

13

인체 영상기기기술

28

사회적 복합재난 예측·대응기술

14

질병진단 바이오칩 기술

29

농축수산자원질병예방·대응 ∙치료기술

15

지능형서비스 로봇기술(진단, 치료분야 등)

30

식품안전성 평가·향상기술

15
High 3. 중장기 창의역량 강화
<창의적 기초연구 진흥>

 정부 R&D예산 중 기초연구 비중 : 35.2%(’12) → 40.0%(’17)
 상위 1% 세계 논문 순위 : 15위 (’12) → 10위(’17)
2012

2012

2017

2017

<창의∙융합형 인재(C형) 양성∙활용>

 인구 중 이공계 박사비율 : 0.4%(20여 만 명, ’12) → 0.6%(30여 만 명, ’17)
 총 연구원 수

 264,000 명 (’12) → 360,000 명 (’17)
2012

<창의적 과학문화 조성>

 창의적 과학문화 순위 : 22위(’12) → 15위(’17)
2012
16

2017

2017

2012

2017
High 3. 중장기 창의역량 강화
<국가발전의 중추거점으로 출연(연) 육성>

 출연(연) 사업비 중 융합연구비 비중 : 8.0%(’13) → 15.0%(’17)
 출연금 대비 중소기업 공동연구사업비 비중 : 7% (’12) → 15.0%(’17)

2013

2017

2012

2017

<과학기술 글로벌화>

 연구원 천명당 국제공동특허 수 : 0.39건(’12) → 0.50건(’17)
 국제협력 순위(COSTII) : 16위(’12) → 10위(’17)
2012

<새로운 지역 혁신체계 구축>

 지역 연구개발 투자 확대 및 자율성 강화
17

2017

2012

2017
High 4. 신산업 창출 지원
<중소∙벤처기업 기술혁신 지원>

 정부 R&D예산 대비 중소기업 투자비중
: 12.4%(’12) → 18.0%(’17)

 중소기업 기술경쟁력 (세계 최고수준 대비)

2012

: 75%(’12) → 85%(’17)

2017
2012

2017

 성장 단계 별 맞춤형 지원체계 마련

<기술이전∙사업화 촉진>

 공공연구기관 기술이전율 : 26.0%(’12) → 34.0%(’17)
2012
18

2017
High 4. 신산업 창출 지원
<지식재산 생태계 조성>

 연간 국제특허수 (삼극특허)

: 2,223건(’12) → 3,000건(’17)

 민간의 직무발명 제도 도입율
: 43%(’12) → 70%(’17)

2012

<신시장 개척 지원>

 융합기술∙제품 개발 촉진
 서비스 연구개발 지원 강화
 혁신적 기술∙제품의 수요창출

 기술규제 혁신

19

2017

2012

2017
High 5. 과학기술 기반 일자리 창출
<창업주체별 지원체계 구축>

 창업활동지수 : 7.8%(’11) → 10.0%(’17)
* 18~64세 인구 중 현재 창업을 준비 중이거나 3개월 이상
42개월 미만의 신생기업을 소유/경영하고 있는 비율
2011

 전주기 창업교육모델 마련∙운영

20

2017
High 5. 과학기술 기반 일자리 창출
<기술창업 생태계 조성>

 투자 회수 및 재도전 지원
 기술과 아이디어 기반 자금조달 촉진
<새로운 과학기술 일자리 창출>

 과학기술인력 일자리 창출
: 605만 명(’12) → 669만 명(’17) (64만 명 ↑)
2012

 산업 분야 전문가 양성과 新직업군 창출

21

2017
추진과제

(밑줄은 중점과제)

High1 국가연구개발 투자 확대 및 효율화

1

국가연구개발 투자 확대 및 효율화

• 총연구개발 투자 지속확대
• 연구주체 간 역할정립
• 연구개발 투자시스템 효율화
• 선도형 기획, 관리, 평가시스템 구축
• 과학기술 인프라의 개방과 공유 활성화
• 미래에너지와 자원 확보․활용

High2 국가전략기술개발

2

• 보건∙ 의료 글로벌 시장 선점

ICT 융합 신산업 창출

• 농림축산 고부가가치화
• 우주∙항공∙국방`의 성장동력화

• SW∙인터넷 신산업 육성

• 해양∙수산의 미래산업화

• C-P-N-D기반 ICT혁신역량 강화

3

• 문화관광 콘텐츠 첨단화

미래성장동력 확충

• 스마트 교통∙물류 시스템 구축
• 주력수출산업 고도화

6

5
걱정없는 안전사회 구축

• 선제적 자연재해 대응과 피해
최소화
• 사회적 재난 대응체계 확보

건강장수 시대 구현

4

깨끗하고 편리한 환경 조성

• 난치성 질병 극복

• 기후변화 대응력 강화

• 환자 맞춤형 의료서비스 실현
• 저출산․고령화 대응 강화

• 생활공간 편의성 향상

• 식량안보와 식품안전 향상
22

• 환경 보전∙복원 시스템 고도화
• 국토인프라 선진화
추진과제

(밑줄은 중점과제)

High3 중장기 창의역량 강화

7

• 과학기술인이 존중받는 사회 실현

창의적 기초연구 진흥

• 중장기∙안정적 기초연구 투자 확대
• 세계 수준의 기초연구 거점 조성
• 창의적 연구환경 조성
• 기초연구 협력 및 성과확산 촉진

• 여성 과학기술인의 잠재력 활용 극대화

8

창의․융합형 인재 양성․활용

• 전략분야 국제공동연구 활성화
• 국제과학기술허브 구축

• 과학기술인 사회참여 및 연구윤리 강화

창의적 과학문화 조성

• 과학기술인재 활용 및 글로벌 유동성 확대

• 과학기술 ODA 확대

• 과학기술문화복지 및 인프라 확충

11

• 세계적 수준의 과학기술자 육성

• 글로벌 과학기술 외교 강화

• 상상∙도전∙창업 과학문화 확산
• 수요자 맞춤 프로그램 개발․보급

12

• 초중등 창의교육 강화
• 대학(원) 융합 교육・연구 역량 강화

• 국제협력 인프라 조성

새로운 지역혁신체계 구축

10

• 지역 산∙학∙연 네트워크 활성화

과학기술 글로벌화

• 지역수요에 기반한 기술개발 지원
• 지역맞춤형 인재양성과 일자리 창출

9

국가발전의 중추거점으로
출연(연) 육성

• 출연(연)별 고유미션 및 정체성
명확화

• 지역 연구개발투자 확대 및 자율성 강화

• 중소기업 지원 및 일자리
창출역량 강화

• 지역 연구개발 기획관리 역량강화

• 개방과 융합연구 촉진

• 지역 연구개발 추진체계 정비

• 자율과 책임의 출연(연) 운영체계

23
추진과제

(밑줄은 중점과제)
14

지식재산 생태계 조성

• 우수 지식재산 창출 체계 구축

High4 신산업 창출 지원

13

• 지식재산 권리화 및 보호 강화

중소․벤처기업 기술혁신 지원

• 지식재산 활용 촉진

• 중소∙벤처기업 중심 연구개발지원체계 구축
• 중소기업 기술혁신인프라 강화

• 지식재산 인프라 확충
• 표준특허 및 국제표준 확보

• 중소기업 우수인력 유입 및 장기재직 지원
• 성장 단계별 맞춤형 지원체계 마련

16

신시장 개척 지원

15

기술이전․사업화 촉진

• 융합 기술·제품 개발 촉진

• 시장을 고려한 기술기획 및 지원

• 서비스 R&D 지원 강화

• 사업화 초기장벽 극복지원 확대

• 혁신적 기술·제품의 수요 창출

• 기술이전 중개자 역량 제고

• 기술규제 혁신

• 사업화 촉진을 위한 개방형 혁신 활성화

High5 과학기술 일자리 확대

17

창업 주체별 지원체계 구축

18

기술창업 생태계조성

19

새로운 과학기술
일자리 창출

• 성장단계별 기술창업 지원강화

• 투자 회수 및 재도전 지원

• 과학기술분야 일자리 확대

• 공공연구기관 창업 활성화

• 기술 및 아이디어 기반
자금조달 촉진

• 정부 R&D와 일자리
연계지원 강화

• 대학의 창업기지화

24
III. 향후 정책 추진 실효성 강화 방안

25
1. 국가R&D 추진주체 역할 정립
[현황]

 국가경제 활력과 성장잠재력 확충을 위한 과학기술 영향력 증대하고 있으나, 2000년대
이후 기업 및 대학의 연구경쟁력 향상에 따른 상호보완적 협력적 역할 체계가 미흡

 과학기술정책 진화·발전을 추격형→탈추격형→창조형으로 구분할 때 우리나라는 추격형과
탈추격형의 경계선상에 위치한다는 평가

 국정 운영철학인 창조경제의 성공을 위한 창조형 국가R&D시스템으로의 전환 논의는 미흡
[실효성 강화 방안]

 탈추격형, 창조형을 지향하는 과학기술정책 추진 방향성과 주요 이슈 탐색, 분석

 주요 선진국 및 강소국 대상 국민소득 3만 달러 진입 전후 과학기술정책 초점, R&D
추진시스템 분석 및 시사점 도출 등 국가차원의 효율적 기술획득 전략 방안 모색

 정부R&D 주체(국공립(연), 출연(연), 기초(연), 대학, 기업 등), 민간 기업 연구소 등의
효율적 미션과 역할분담, 상호간 협력방안에 대한 논의 본격화
26
[참고] 국가혁신생태계

27
2. 과학기술-ICT 융합 기반 강화
[현황]

 과학기술-ICT 융합 본격적 추진을 위한 정책 심의 조직 연계 방안 마련 시점

 2014년 2월 정보통신전략위원회 설치 예정(총리실 산하, 간사는 미래창조과학부 장관)
 과학기술과 ICT 융합의 산업화를 위한 산업융합발전위원회와의 연계∙협력 체제는 부재
정보통신전략위원회(’14.2 출범 예정)

[실효성 강화 방안]

 상기 3개 위원회 간 협력적 연계 시스템 구축

 (예) 매년 초 3개 위원회 공동 개최→전년 융합 성과 점검, 당해년도 활성화 방안 발표 등
 협력적 융합 정책관리 거버넌스 구축을 위한 정책 네트워크 강화

 정책수요자 입장이 고려된 단계별 융합 지원 정책 제시
 기술융합 로드맵 매니지먼트 프로세스 구축

 여러 부처가 융합 R&D 단계 별 연계가 유기적으로 이뤄지도록 로드맵 작성
28
3. 한국형 창업생태계 조성
[현황]

 창조경제 실현을 위한 창업 활성화가 이슈로 대두되면서 다양한 창업정책과 선진국
벤치마킹 결과 들이 다양하게 제시

 그러나 주요 창업 선진국의 단편적 정책만 제시될 뿐 구체적 모델과 생태계 생성과정
논의 등은 부재한 실정

 그간 창업 성과와 역량 분석을 통한 고유 창업 생태계 모델이 부재하고, 창업자 관점에서의
창업 생태계 구축 노력 부족
[실효성 강화 방안]

 그간의 우리나라 창업 정책, 환경, 역량 분석 등을 통해 우리나라 현실을 반영한 창업자
관점의 창업 생태계 설계 추진

 산업구조, 경제발전경로, 그 간의 창업 정책 성과분석 등을 통한 향후 창업 정책과
주변환경을 포함한 생태계 설계 추진

 자생력 높은 창업생태계 구축을 위한 예비창업자 중심의 제도 구축과 시장 메커니즘을
저해하는 정책 정비

 창업생태계 조성을 위한 민-관 역할 논의와 정책 및 사업 간 연계체제 구축
29
4. 효율적 성과 창출과 기초연구 저변확대를 위한 투자 포트폴리오 구축
[현황]

 국정과제를 통해 2017년까지 정부 R&D 예산 가운데 기초연구 투자 비중 40%를 제시

 ‘기초연구진흥종합계획’ 수립(2013.7)
 최근 IBS로의 대규모 지원 확대와 중견연구자 지원 축소 등에 대한 논란 등이 발생
 기초연구 중요성 강조에 비해 연구현장의 기초연구 투자 확대 체감도는 낮은 실정
[실효성 강화 방안]

 우리나라 기초연구 투자 철학 및 목표의 명확화와 이에 적합한 포트폴리오 논의 본격화
 리더연구자지원, 선도연구센터 등 관련 사업의 포지셔닝 및 연계∙발전방안 모색
 정부 R&D 기초연구비 비중 산정방식 개선 논의
 해외 우수연구자와의 네트워킹 및 협력연구 추진 체계 강화

30
5. 과학기술분야 중장기계획 연계성 강화
[현황]

 제3차 과학기술기본계획의 정책 방향에 맞춘 기존 중장기 계획 간 연계성 제고, 내용 및
실행방안 체계화 등 전반적 정비 필요(2012년 기준 17개 부처 추진 계획은 총 113개)

 현정부 들어 창조경제 후속조치 등 다양한 중장기계획이 신규로 수립
[실효성 강화 방안]

 기본계획 해당 분야별 대표 중장기 계획을 지정하고 연계성 강화

 기본계획 19개 분야와 관련하여 미래성장동력, 국제협력, 일자리 지원 등 분야에서
신규 계획 수립 및 창조경제 관련 계획과의 연계 강화를 통한 실효성 확보
제3차 과학기술기본계획
High 1
연구성과
관리
활용계획

High 2
(가칭)
미래성장
동력계획

(가칭)
사회문제
해결 종합
실천계획

High 3
기초연구
진흥종합
계획

과학기술
인재육성
지원계획

(가칭)
(가칭)
공공연구 국제협력
기관 종합 기본계획
발전계획

High 4
지방과학
기술진흥
종합계획

31

중소기업
기술혁신
촉진5개
년계획

국가지식
재산기본
계획

산업기술
혁신
5개년
계획

High 5
산업융합
발전기본
계획

국가융합
기술발전
기본계획

(가칭)
과학기술
기반
일자리전략
[참고] 과학기술분야 중장기계획 현황
 (총 괄) 과학기술분야 중장기 계획은 18개 부처 111개 계획으로, ’09년 93개, ‘10년 105개
계획에서 6개 계획이 증가
※ 부처별:지경부 29개, 교과부 26개, 국토부 12개 등, 수립근거:법정 72/비법정계획 31개

 (확정기구) 국과위 심의 38개*(34.2%), 자체 심의 73개(65.8%)
※ 부처별 : 교과부 10, 지경부 6, 국토부 5개 등, 수립근거:법정 29, 비법정계획 9개

 (분 야 별) 과기정책분야 27개(24.3%), 기술개발분야 84개(75.7%)
※ 기술개발분야 : 생명 24, 에너지환경 19, 전자‧정보통신 12개 등의 순

○ (과학기술정책분야) (’08) 26개→(’09) 32개→(’10) 33개→(’11) 27개 계획
※ 8대 정책분야로 구분(① 인력양성, ② 기초원천연구, ③ 중소벤처 기술혁신, ④ 국제화, ⑤지역 기술혁신, ⑥ 과학기술
하부구조, ⑦ 과학기술 문화, ⑧ 투자확대 및 효율화)

○ (기술개발분야) (’08) 57개 → (’09) 61개→ (’10) 72개 → (’11) 84개 계획
※ 「과학기술표준분류」 등에 따른 8개 기술 분야로 구분(①융합, ②생명, ③나노/소재,
공정, ⑥에너지/환경, ⑦우주/항공/해양, ⑧건설/교통/안전)

32

④전자/정보통신, ⑤기계/제조
(1) 정책분야

※ 점선으로 표시된 계획은 조사․분석대상에서 제외된 계획이나 계획간 연계되어 추진되는 계획
※ 실선으로 연결된 계획은 계획간 일부 내용이 연계되어 추진되는 계획들을 의미
33
(2) 기술분야

① 산업 디자인 진흥종합계획, 디자인 산업육성 종합계획 ② 국가 감염병 위기대응 기술개발 추진전략, 암정복 10개년계획, 한의약R&D 중장기 육성∙발전계획, 한의약육성 발전계획,
환경보건종합계획, 생명산업2020+발전전략 ③ 식물검역기술 개발종합계획, 국립수산과학원 중장기 연구종합계획, 식품산업R&D 중장기계획, 식품산업진흥 기본계획, 수의과학기술
개발연구사업 중장기계획, 종자산업육성 중장기계획 ④ 클라우드컴퓨팅 활성화 종합계획, 차세대(4G) 모바일 주도권 확보전략, 미래를 대비한 인터넷 발전계획 ⑤ 시스템반도체 장비산업
육성전략, IT 네트워크장비산업 발전전략, SW-시스템반도체 동반 육성전략, 이러닝산업 발전 및 활성화 기본계획 ⑥ 엔지니어링 산업진흥 기본계획 ⑦ 2020 해양과학기술(MT)로드맵,
남극연구활동 진흥 기본계획 ⑧ 건설교통R&D중장기계획, 국가교통기술 개발계획, 건설환경 기본계획 ⑨ 지진∙지진해일 감시기술 발전을 위한 Safety Area From Earthquake 비전2012,
소방방재청 국가연구개발사업 중장기계획
6. 과학기술 기반 고품질 일자리 창출
[문제 제기]

 정부는 고용률 70% 달성을 위해 「고용률 70% 로드맵」 추진

 고용률 70% 로드맵은 전문과학 및 기술분야의 추가 일자리 목표 18.3만개 제시
[실효성 강화 방안]

 과학기술 정책 추진을 통해 창출되는 일자리는 고품질 일자리에 집중

 추세에 따르면 2017년까지 과학기술일자리 총 30만개 자연 증가 전망
 정책 추진으로 추가되는 일자리는 기술 기반으로 양질의 일자리 창출
 일자리 창출을 주요 정책요소로 고려하는 연구개발 패러다임 변화 추구

 정부 연구개발사업과 고용 연계 강화
 산∙학 협력 기반의 연구인력 양성과 고용 촉진
 일자리 수급 불균형 해소를 위한 정책 기반 마련
35
7. 과거 정부와의 과학기술정책 연속성 확보
지식경제

혁신경제

녹색경제

창조경제

(국민의 정부)

구분

(참여정부)

(MB정부)

(박근혜정부)

차세대성장산업(6T)


IT(정보기술)



BT(바이오기술)



NT(나노기술)

신성장



ET(환경기술)

동력산업



CT(문화기술)

(주력기술) 

ST(우주기술)



실험실 교수창업 허용



창업문턱을 낮춤: 창업자본을
2,000만원으로 낮춤



벤처 건전화 방안 마련,
M&A 활성화 정책 구축



벤처기업확인제도 도입:
세무조사 면제, 특별보증,
정책자원 지원 등

지원
정책

신성장동력












지능형로봇
지능형홈네트워크
미래형자동차
디지털콘텐츠/SW솔루션
차세대반도체
차세대전지
디지털 TV/방송
바이오신약/장기
차세대이동통신
디스플레이






벤처촉진지구 도입: 지방벤처
육성



차세대성장동력



외국인 벤처기업 주식
취득한도 폐지



양도차익에 대한 비과세 조치



크스닥 등록, 퇴출제도 개편,
벤처 등 주식매각 제한 제도
개선

3대 분야 17개 신성장동력
녹색기술산업(6개)



첨단융합산업(6개)



고부가서비스산업(5개)



신성장동력 20개 기술(기존
17개 기술에 세일가스,
전력저장장치, K-POP 전용 공



연장을 추가 (2012. 9
신성장동력 평가보고대회)

차세대 성장동력 산업에 대해
출자총액제한 예외 인정



효율적인 온실가스 감축과
에너지 자립강화

기술 결합 시너지 효과 큰
첨단기술 분야는 기업합병,
수도권 입지 등 규제 완화



녹색기술 개발과 성장동력화



산업의 녹색화와 녹색산업
육성

중소기업의 연구인력 개발비
세액공제액 전액과 대기업
석∙박사급 연구인력 인건비에
대한 세액공제액에 대해
최저한세 적용 배제 등



정부 R&D 에산 50%를
기초∙원천연구에 투자



구매조건부 기술개발사업을
국방에서 전력∙가스∙철도로
확대: ’08년까지 10개 기관



중소기업기술혁신지원제도
(KOSBIR)를 통한 공공기관의
중소기업 R&D 지원 강화 및
이행력 제고



중소기업진흥및산업기반기금
등으로 1조원의 벤처투자
재원을 조성해 기술혁신형
중소∙벤처기업의 창업 및
성장지원 등

엔젤투자조합 설립을
등록제로 전환







 과학기술과
아이디어·상상력 융합
신산업 창출(신성장동력,
사회이슈해결, 실용기술
활용, 과학기술 서비스,
거대·전략 기반산업
등)(국정과제 1번)

36



창조경제 생태계 구축



일자리 창출을 위한 성장동력
강화



중소기업의 창조경제 주역화



창의와 혁신을 통한 과학기술
발전



원칙이 바로선 시장 경제



성장을 뒷받침하는 경제 운영



정부 R&D 예산 40%를
기초연구에 투자
지식경제

혁신경제

녹색경제

창조경제

(국민의 정부)

구분

(참여정부)

(MB정부)

(박근혜정부)

IT 강국 벤처산업 육성


방향



정보화를 통한 지식강국을
지향하고자 초고속인터넷
보급과 벤처 육성을 통한 IT
강국 구현 및 벤처산업 육성
외환위기
대안으로
기반으로
기술개발
추구하는
추구

극복을 위한
정보통신기술을
한 벤처 중소기업의
및 생산성 향상을
경제체제로의 변화

전자정부 구축


주요
계획 및
목표

수행조직



스마트폰 등 모바일 중심의
스마트시대를 선도하고,
정부의 대국민 소통 활성화 및
일하는 방식의 선진화 구현
벤처 육성(IT 중심)2002년까지 2만개의 벤처
기업을 육성하여 40만개의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

국가과학기술혁신체계(NIS)
구축과 국가균형발전 추구


일자리 중심의 창조경제





창의력 및 상상력과
과학기술·ICT 융합을 통한
새로운 시장과 산업 육성으로
양질의 많은 일자리 창출을
위한 경제 패러다임의 변화



고용과 국민복지 두 마리 토끼
잡기

혁신주도형 경제성장을
견인할 국가 과학기술
혁신체계 구축을 적극 추진



경제와 환경의 조화, 균형성장

국토의 불균형적 성장 결과를
보완할 수 있는 대안으로
국가균형발전을 주요 정책
방안으로 제시하고 추진

국가과학기술혁신체계(NIS)
구축 방안


5대 혁신분야 30개 중점과제
국가균형발전5개년계획



성장과 지속가능성을 동시에
추구하는 녹색기술과
청정에너지로 신성장동력과
일자리를 창출하는 미래
새로운 경제성장(신국가성장)
패러다임 추구

녹색성장국가전략 및
5개년 계획


세계적 혁신클러스터 육성,
지역균형적 산업발전 계획,
네트워크형 국토구조 형성 등

2020년까지 세계 7대,
2050년까지 세계 5대 녹색
강국 진입



 녹색성장위원회

2017년까지 일자리 238만개
창출, 고용률 70% 달성

녹색기술산업을 신성장동력
산업으로 육성

과학기술중심사회추진기획단



10대 정책방향



창조경제 실천계획

 전자정부특별위원회



 벤처기업활성화위원회

 국가과학기술위원회

 미래창조과학부

IT 벤처 육성, 신성장동력, 사회적 문제 해결을 통한 일자리 창출 등은 기존 국가 경제 및 과학기술
정책의 연장선상에 있으며, 창조경제의 실현을 위해서는 과거 정책의 객관적 리뷰가 필요
37
감사합니다.
제3차 과학기술기본계획 최종보고서는
미래창조과학부 홈페이지 (www.msip.go.kr) ‘통합검색’에서
검색하면 다운로드 받으실 수 있습니다.

More Related Content

Similar to 박근혜 정부 과학기술정책 구조 및 방향성

[제102차 오픈포럼 발제자료] 20대 국회에 과학기술을 묻는다 (160527)
[제102차 오픈포럼 발제자료] 20대 국회에 과학기술을 묻는다 (160527)[제102차 오픈포럼 발제자료] 20대 국회에 과학기술을 묻는다 (160527)
[제102차 오픈포럼 발제자료] 20대 국회에 과학기술을 묻는다 (160527)Sci Feel
 
2009 생명공학백서 3장
2009 생명공학백서 3장2009 생명공학백서 3장
2009 생명공학백서 3장Soo-Ik Chang
 
How to build a new innovation ecosystem in korea
How to build a new innovation ecosystem in koreaHow to build a new innovation ecosystem in korea
How to build a new innovation ecosystem in koreaSeogwon Hwang
 
특허청 정부3.0 우수사례 경진대회 개최
특허청 정부3.0 우수사례 경진대회 개최특허청 정부3.0 우수사례 경진대회 개최
특허청 정부3.0 우수사례 경진대회 개최특허청(KIPO)
 
과학과 기술의 공진화를 통한 과학의 추격
과학과 기술의 공진화를 통한 과학의 추격과학과 기술의 공진화를 통한 과학의 추격
과학과 기술의 공진화를 통한 과학의 추격Hanbat National Univerisity
 
Disc 2015 보도자료 (휴대폰번호 삭제-수정)
Disc 2015 보도자료 (휴대폰번호 삭제-수정)Disc 2015 보도자료 (휴대폰번호 삭제-수정)
Disc 2015 보도자료 (휴대폰번호 삭제-수정)Han Woo PARK
 
과학기술혁신을 통한 창조경제와 국민행복의 선순환: 관점 및 사례
과학기술혁신을 통한 창조경제와 국민행복의 선순환: 관점 및 사례과학기술혁신을 통한 창조경제와 국민행복의 선순환: 관점 및 사례
과학기술혁신을 통한 창조경제와 국민행복의 선순환: 관점 및 사례atelier t*h
 
대한민국 9대 국가전략프로젝트 선정 2016년 08월 10일
대한민국 9대 국가전략프로젝트 선정 2016년 08월 10일대한민국 9대 국가전략프로젝트 선정 2016년 08월 10일
대한민국 9대 국가전략프로젝트 선정 2016년 08월 10일봉조 김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futur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futur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futur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future Heung-No Lee
 
나는 PM이다! 34회 김승철 회장님 발표자료
나는 PM이다! 34회 김승철 회장님 발표자료나는 PM이다! 34회 김승철 회장님 발표자료
나는 PM이다! 34회 김승철 회장님 발표자료Dong-Hwan Han, Ph.D.
 
이공계조직화와국가발전V1.0
이공계조직화와국가발전V1.0이공계조직화와국가발전V1.0
이공계조직화와국가발전V1.0Soojin Shin
 
적정기술미래포럼 SDGs와 적정기술 연계성 발표자료
적정기술미래포럼 SDGs와 적정기술 연계성 발표자료적정기술미래포럼 SDGs와 적정기술 연계성 발표자료
적정기술미래포럼 SDGs와 적정기술 연계성 발표자료JaeUng Ha
 
창조경제연구회 제20차 정기포럼 창조형 연구 기술사업화
창조경제연구회 제20차 정기포럼   창조형 연구 기술사업화창조경제연구회 제20차 정기포럼   창조형 연구 기술사업화
창조경제연구회 제20차 정기포럼 창조형 연구 기술사업화애란 최
 
한국, 국가 관점의 혁신 성장 Vision 수립이 필요
한국, 국가 관점의 혁신 성장 Vision 수립이 필요한국, 국가 관점의 혁신 성장 Vision 수립이 필요
한국, 국가 관점의 혁신 성장 Vision 수립이 필요Donghyung Shin
 
RISTI Ltd. Introduction
RISTI Ltd. IntroductionRISTI Ltd. Introduction
RISTI Ltd. IntroductionRISTILtd
 
보건산업 진흥 전략(배성윤, 2013.12.11)
보건산업 진흥 전략(배성윤, 2013.12.11)보건산업 진흥 전략(배성윤, 2013.12.11)
보건산업 진흥 전략(배성윤, 2013.12.11)Sung Yoon Bae
 
창조경제 구현을 위한 국가혁신시스템의 전환 방형과 과제
창조경제 구현을 위한 국가혁신시스템의 전환 방형과 과제창조경제 구현을 위한 국가혁신시스템의 전환 방형과 과제
창조경제 구현을 위한 국가혁신시스템의 전환 방형과 과제atelier t*h
 
의대컨소시엄 소개 자료 3
의대컨소시엄 소개 자료 3의대컨소시엄 소개 자료 3
의대컨소시엄 소개 자료 3guestb89ff8
 
170312 창업 지원 사업 소개(전달)
170312 창업 지원 사업 소개(전달)170312 창업 지원 사업 소개(전달)
170312 창업 지원 사업 소개(전달)SeungWon Lee
 
DISC 기본계획서
DISC 기본계획서 DISC 기본계획서
DISC 기본계획서 Han Woo PARK
 

Similar to 박근혜 정부 과학기술정책 구조 및 방향성 (20)

[제102차 오픈포럼 발제자료] 20대 국회에 과학기술을 묻는다 (160527)
[제102차 오픈포럼 발제자료] 20대 국회에 과학기술을 묻는다 (160527)[제102차 오픈포럼 발제자료] 20대 국회에 과학기술을 묻는다 (160527)
[제102차 오픈포럼 발제자료] 20대 국회에 과학기술을 묻는다 (160527)
 
2009 생명공학백서 3장
2009 생명공학백서 3장2009 생명공학백서 3장
2009 생명공학백서 3장
 
How to build a new innovation ecosystem in korea
How to build a new innovation ecosystem in koreaHow to build a new innovation ecosystem in korea
How to build a new innovation ecosystem in korea
 
특허청 정부3.0 우수사례 경진대회 개최
특허청 정부3.0 우수사례 경진대회 개최특허청 정부3.0 우수사례 경진대회 개최
특허청 정부3.0 우수사례 경진대회 개최
 
과학과 기술의 공진화를 통한 과학의 추격
과학과 기술의 공진화를 통한 과학의 추격과학과 기술의 공진화를 통한 과학의 추격
과학과 기술의 공진화를 통한 과학의 추격
 
Disc 2015 보도자료 (휴대폰번호 삭제-수정)
Disc 2015 보도자료 (휴대폰번호 삭제-수정)Disc 2015 보도자료 (휴대폰번호 삭제-수정)
Disc 2015 보도자료 (휴대폰번호 삭제-수정)
 
과학기술혁신을 통한 창조경제와 국민행복의 선순환: 관점 및 사례
과학기술혁신을 통한 창조경제와 국민행복의 선순환: 관점 및 사례과학기술혁신을 통한 창조경제와 국민행복의 선순환: 관점 및 사례
과학기술혁신을 통한 창조경제와 국민행복의 선순환: 관점 및 사례
 
대한민국 9대 국가전략프로젝트 선정 2016년 08월 10일
대한민국 9대 국가전략프로젝트 선정 2016년 08월 10일대한민국 9대 국가전략프로젝트 선정 2016년 08월 10일
대한민국 9대 국가전략프로젝트 선정 2016년 08월 10일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futur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futur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futur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future
 
나는 PM이다! 34회 김승철 회장님 발표자료
나는 PM이다! 34회 김승철 회장님 발표자료나는 PM이다! 34회 김승철 회장님 발표자료
나는 PM이다! 34회 김승철 회장님 발표자료
 
이공계조직화와국가발전V1.0
이공계조직화와국가발전V1.0이공계조직화와국가발전V1.0
이공계조직화와국가발전V1.0
 
적정기술미래포럼 SDGs와 적정기술 연계성 발표자료
적정기술미래포럼 SDGs와 적정기술 연계성 발표자료적정기술미래포럼 SDGs와 적정기술 연계성 발표자료
적정기술미래포럼 SDGs와 적정기술 연계성 발표자료
 
창조경제연구회 제20차 정기포럼 창조형 연구 기술사업화
창조경제연구회 제20차 정기포럼   창조형 연구 기술사업화창조경제연구회 제20차 정기포럼   창조형 연구 기술사업화
창조경제연구회 제20차 정기포럼 창조형 연구 기술사업화
 
한국, 국가 관점의 혁신 성장 Vision 수립이 필요
한국, 국가 관점의 혁신 성장 Vision 수립이 필요한국, 국가 관점의 혁신 성장 Vision 수립이 필요
한국, 국가 관점의 혁신 성장 Vision 수립이 필요
 
RISTI Ltd. Introduction
RISTI Ltd. IntroductionRISTI Ltd. Introduction
RISTI Ltd. Introduction
 
보건산업 진흥 전략(배성윤, 2013.12.11)
보건산업 진흥 전략(배성윤, 2013.12.11)보건산업 진흥 전략(배성윤, 2013.12.11)
보건산업 진흥 전략(배성윤, 2013.12.11)
 
창조경제 구현을 위한 국가혁신시스템의 전환 방형과 과제
창조경제 구현을 위한 국가혁신시스템의 전환 방형과 과제창조경제 구현을 위한 국가혁신시스템의 전환 방형과 과제
창조경제 구현을 위한 국가혁신시스템의 전환 방형과 과제
 
의대컨소시엄 소개 자료 3
의대컨소시엄 소개 자료 3의대컨소시엄 소개 자료 3
의대컨소시엄 소개 자료 3
 
170312 창업 지원 사업 소개(전달)
170312 창업 지원 사업 소개(전달)170312 창업 지원 사업 소개(전달)
170312 창업 지원 사업 소개(전달)
 
DISC 기본계획서
DISC 기본계획서 DISC 기본계획서
DISC 기본계획서
 

More from 두원 차

It rn d 거버넌스
It rn d 거버넌스It rn d 거버넌스
It rn d 거버넌스두원 차
 
2012년 주요국 과학기술/IT 거버넌스
2012년 주요국 과학기술/IT 거버넌스2012년 주요국 과학기술/IT 거버넌스
2012년 주요국 과학기술/IT 거버넌스두원 차
 
creative economy in Korea
creative economy in Koreacreative economy in Korea
creative economy in Korea두원 차
 
과학기술과 행복 좌담회
과학기술과 행복 좌담회과학기술과 행복 좌담회
과학기술과 행복 좌담회두원 차
 
(2015 11) 자율주행차가 가져올 변화와 주요 이슈(차두원)
(2015 11) 자율주행차가 가져올 변화와 주요 이슈(차두원)(2015 11) 자율주행차가 가져올 변화와 주요 이슈(차두원)
(2015 11) 자율주행차가 가져올 변화와 주요 이슈(차두원)두원 차
 
(2015 06) 기술발전과 일자리(mk)(차두원-인쇄용)
(2015 06) 기술발전과 일자리(mk)(차두원-인쇄용)(2015 06) 기술발전과 일자리(mk)(차두원-인쇄용)
(2015 06) 기술발전과 일자리(mk)(차두원-인쇄용)두원 차
 
(2015 04-20-version) io t와 공유경제(차두원)
(2015 04-20-version) io t와 공유경제(차두원)(2015 04-20-version) io t와 공유경제(차두원)
(2015 04-20-version) io t와 공유경제(차두원)두원 차
 
(2015 01-20) '초연결시대, 공유경제와 사물인터넷의 이해(Forum-X)
(2015 01-20) '초연결시대, 공유경제와 사물인터넷의 이해(Forum-X)(2015 01-20) '초연결시대, 공유경제와 사물인터넷의 이해(Forum-X)
(2015 01-20) '초연결시대, 공유경제와 사물인터넷의 이해(Forum-X)두원 차
 
(2014 12-11) hci 2015(io t와 공유경제(차두원)
(2014 12-11) hci 2015(io t와 공유경제(차두원)(2014 12-11) hci 2015(io t와 공유경제(차두원)
(2014 12-11) hci 2015(io t와 공유경제(차두원)두원 차
 
(2014 05-22) seoul forum
(2014 05-22) seoul forum(2014 05-22) seoul forum
(2014 05-22) seoul forum두원 차
 
(2014 05-22) seoul forum
(2014 05-22) seoul forum(2014 05-22) seoul forum
(2014 05-22) seoul forum두원 차
 
(2014 05-22) seoul forum
(2014 05-22) seoul forum(2014 05-22) seoul forum
(2014 05-22) seoul forum두원 차
 
Undp 창조경제보고서
Undp 창조경제보고서Undp 창조경제보고서
Undp 창조경제보고서두원 차
 

More from 두원 차 (13)

It rn d 거버넌스
It rn d 거버넌스It rn d 거버넌스
It rn d 거버넌스
 
2012년 주요국 과학기술/IT 거버넌스
2012년 주요국 과학기술/IT 거버넌스2012년 주요국 과학기술/IT 거버넌스
2012년 주요국 과학기술/IT 거버넌스
 
creative economy in Korea
creative economy in Koreacreative economy in Korea
creative economy in Korea
 
과학기술과 행복 좌담회
과학기술과 행복 좌담회과학기술과 행복 좌담회
과학기술과 행복 좌담회
 
(2015 11) 자율주행차가 가져올 변화와 주요 이슈(차두원)
(2015 11) 자율주행차가 가져올 변화와 주요 이슈(차두원)(2015 11) 자율주행차가 가져올 변화와 주요 이슈(차두원)
(2015 11) 자율주행차가 가져올 변화와 주요 이슈(차두원)
 
(2015 06) 기술발전과 일자리(mk)(차두원-인쇄용)
(2015 06) 기술발전과 일자리(mk)(차두원-인쇄용)(2015 06) 기술발전과 일자리(mk)(차두원-인쇄용)
(2015 06) 기술발전과 일자리(mk)(차두원-인쇄용)
 
(2015 04-20-version) io t와 공유경제(차두원)
(2015 04-20-version) io t와 공유경제(차두원)(2015 04-20-version) io t와 공유경제(차두원)
(2015 04-20-version) io t와 공유경제(차두원)
 
(2015 01-20) '초연결시대, 공유경제와 사물인터넷의 이해(Forum-X)
(2015 01-20) '초연결시대, 공유경제와 사물인터넷의 이해(Forum-X)(2015 01-20) '초연결시대, 공유경제와 사물인터넷의 이해(Forum-X)
(2015 01-20) '초연결시대, 공유경제와 사물인터넷의 이해(Forum-X)
 
(2014 12-11) hci 2015(io t와 공유경제(차두원)
(2014 12-11) hci 2015(io t와 공유경제(차두원)(2014 12-11) hci 2015(io t와 공유경제(차두원)
(2014 12-11) hci 2015(io t와 공유경제(차두원)
 
(2014 05-22) seoul forum
(2014 05-22) seoul forum(2014 05-22) seoul forum
(2014 05-22) seoul forum
 
(2014 05-22) seoul forum
(2014 05-22) seoul forum(2014 05-22) seoul forum
(2014 05-22) seoul forum
 
(2014 05-22) seoul forum
(2014 05-22) seoul forum(2014 05-22) seoul forum
(2014 05-22) seoul forum
 
Undp 창조경제보고서
Undp 창조경제보고서Undp 창조경제보고서
Undp 창조경제보고서
 

박근혜 정부 과학기술정책 구조 및 방향성

  • 1. 한국정책학회 동계학술대회 발표자료 박근혜 정부 과학기술 정책 구조 및 방향성 2013. 12. 6 차두원, 김윤종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정책기획실
  • 2. 목차 I. 주요 과학기술 정책방향 II. 제3차 과학기술기본계획 III. 향후 정책 추진 실효성 강화 방안 1
  • 3. I. 주요 과학기술 정책방향 2
  • 4. 창조경제 실현 위한 과학기술 역할 창조경제 개념 창조경제 실현을 위한 과학기술 역할 경제 부흥 2017년 1인당 국민소득 3만 달러 견인 국민 행복 삶의 질 향상 추구 3 창조경제 기반 선도형 연구개발 체계로 패러다임 전환
  • 5. 1. 국민소득 3만 달러 달성  국민소득 2만 달러의 덫  2007년 2만 달러 수준 진입 후 현재까지 상승이 없는 상태  지난 4년간(2007-2011) 1인당 국민소득 증가율이 연평균 1% 수준  향후 3%미만(2.9%) 증가율이 계속되면, 3만 달러 도달에 10년 이상 소요될 전망  선진 23개국은 2만 달러에서 3만 달러 진입 시 평균 5.2%의 증가율로 평균 8.0년 소요  2017년 3만 달러 달성을 위해서는 잠재성장률 4% 이상 유지 필요  과학기술혁신에 기반한 생산성 향상, 내·외수 선순환 경제구조 고도화 필요 4
  • 6. 2. 삶의 질 향상 요구 증가  물질적 측면에서 정신적 측면을 중시하는 가치관과 소비 성향이 변화  2013년 행복지수(IMD) 평가결과 우리나라는 59개국 중 22위 <국민이 원하는 국가전략기술 선정기준> (KISTEP, 일반국민 1,000여명 대상 설문조사, 2012.2)  우리나라는 경제성장 목적 투자비중이 선진국에 비해 높은 수준 <주요국의 경제 사회 목적별 정부 연구개발 예산현황> 5
  • 7. 3. 선도형 연구개발 패러다임 전환  추격형 연구개발 한계에 봉착  주력산업 경쟁력 약화와 ICT산업 이후 신성장산업 발굴 및 육성 지체  선도형 패러다임 특성  기초연구 강조, 창의적 인력양성, 지식재산 중심R&D 전략, 개방형 기술혁신 활성화 등 선도형 추격형 • 응용, 개발연구 중심 • 인력 양적 확대 • 지적재산 소홀 • 폐쇄형 기술혁신 현상 - 신성장산업 창출 지연 - 기술무역 적자 확대 - 선진국 기술 견제 심화 • 기초연구 강화 • 창의적 인력 양성 • 지식재산 중시 • 개방형 기술혁신 <선도형 연구개발로 패러다임의 전환> 6
  • 9. 과학기술기본계획 개요  과학기술분야 범부처 최상위 국가 종합계획  과학기술기본법에 의거하여 5년 단위로 정부가 의무적으로 수립⋅시행하는 과학기술 분야 범부처 종합계획  (과학기술기본법 제7조) 국가과학기술위원회는 5년마다 관계 중앙행정기관의 과학기술관련 계획과 시책 등을 종합하여 기본 계획을 수립 및 추진 < 과학기술기본계획 필수포함사항 > 1. 과학기술의 발전목표 및 정책의 기본방향 9. 과학기술인력 양성 및 활용 증진 2. 과학기술혁신 관련 산업정책, 인력정책 및 10. 과학기술지식과 정보자원 확충⋅관리 및 지역기술 유통체제 구축 혁신정책 등의 추진방향 3. 과학기술투자의 확대 11. 지방과학기술 진흥 4. 과학기술 연구개발 추진, 협동연구개발 촉진 12. 과학기술 국제화 촉진 5. 기업⋅대학, 연구기관 등 과학기술혁신 역량 강화 13. 남북 간 과학기술 교류협력 촉진 6. 연구 성과의 확산, 기술이전 및 실용화 촉진 14. 과학기술문화 창달 촉진 7. 기초연구의 진흥 15. 민간부문 기술개발 촉진 8. 과학기술교육의 다양화 및 질적 고도화 16. 그 밖에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과학기술진흥 사항 (출처) 과학기술기본법 제7조 3항 및 동법 시행령 제4조 8
  • 10. 국정과제-창조경제실현계획-과학기술기본계획 정책 영역 [ 박근혜 정부의 국정과제 (2013.5) ] ∙ 경제민주화 ∙ 민생경제 등 [ 과학기술기본계획 (2013.7) ] ∙ 과학기술 기반 국민안전 실현 등 ∙ 지식재산 창출∙보호∙활용 생태계 ∙ 과학기술 기반 일자리 창출 ∙ 기술창업 지원 ∙ 산학연 협력 강화 ∙ 연구개발 투자 확대 ∙ 중소기업 기술혁신 지원 ∙ 창의인재 양성 ∙ 과학기술인 처우개선 ∙ IT융합 신산업 창출 ∙ 과학기술 지역 발전 기여 ∙ 과학문화 확대 ∙ 미래 성장동력 확충 지원 ∙ 창의문화 조성 등 ∙ 과학기술 외교강화 등 ∙ 기초연구 지원 ∙ R&D 시스템 효율화 등 ∙ 창조경제 문화조성(창조경제타운) 등 [ 창조경제 실현계획(2013.6) ] 9
  • 11. 제2차 기본계획의 범위 확대 INPUT PROCESS 10 OUTPUT
  • 13. 주요 성과 목표 국가전략기술 경쟁력 제고 과학기술 혁신역량 순위 R&D 경제성장 기여율 과학기술인력 일자리 창출 삶의 질 투자 향상 과학기술을 통한 “경제부흥과 국민행복 실현” 12
  • 14. High 1. 국가 연구개발 투자 확대 및 효율화 ■ 향후 5년간 총 정부 R&D 총 92.4조원 투자 ■  창조경제 Seed Money인 연구개발투자 지속 확대  17년까지 8.1조원을 추가 투입(‘13년 정부 R&D예산안 대비)  민간 R&D투자 활성화를 위한 조세지원* 지속추진 * 재정여건에 따라 예산편성 과정에서 조정될 수 있음  투자 재검증 → 예산절감 → 전략분야 집중투자 등 투자 효율화  선도형 기획-관리-평가 시스템으로 개편  과학기술 인프라의 개방과 공유 활성화 13
  • 15. High 2. 국가전략기술개발 ■ 5대분야 120개 국가전략기술 개발 ■ 01 02 지속적 경제성장 견인 IT융합 신산업 창출 미래성장동력 확충 03 04 05 삶의 질 향상 기여 깨끗하고 편리한 환경 조성 건강장수 시대 구현 14 걱정 없는 안전사회 구축
  • 16. High 2. 국가전략기술개발  30대 중점 전략기술 1 지식정보보안기술 16 맞춤형 신약개발기술 2 지식기반 빅데이터 활용기술 17 유용 유전자원 이용기술 3 차세대 유무선 통신네트워크기술(5G등) 18 식량자원 보존 및 식품가치창출기술 4 융합서비스 플랫폼기술 19 우주발사체 개발기술 5 지능형 인터렉티브 기술 20 고부가가치 선박기술 6 첨단철도기술 21 이산화탄소포집∙저장∙이용기술 7 첨단소재기술(무기∙유기∙탄소 등) 22 오염 물질 제어 및 처리기술(수질, 대기 등) 8 초고집적 반도체 공정 및 장비기술 23 고효율 에너지 빌딩기술 9 초정밀 디스플레이 공정 및 장비기술 24 미래첨단도시 건설기술 10 환경친화 자동차기술 25 줄기세포기술(분화·배양·치료) 11 태양에너지기술 26 건강관리서비스기술 12 스마트그리드기술 27 자연재해모니터링·예측·대응기술 13 인체 영상기기기술 28 사회적 복합재난 예측·대응기술 14 질병진단 바이오칩 기술 29 농축수산자원질병예방·대응 ∙치료기술 15 지능형서비스 로봇기술(진단, 치료분야 등) 30 식품안전성 평가·향상기술 15
  • 17. High 3. 중장기 창의역량 강화 <창의적 기초연구 진흥>  정부 R&D예산 중 기초연구 비중 : 35.2%(’12) → 40.0%(’17)  상위 1% 세계 논문 순위 : 15위 (’12) → 10위(’17) 2012 2012 2017 2017 <창의∙융합형 인재(C형) 양성∙활용>  인구 중 이공계 박사비율 : 0.4%(20여 만 명, ’12) → 0.6%(30여 만 명, ’17)  총 연구원 수  264,000 명 (’12) → 360,000 명 (’17) 2012 <창의적 과학문화 조성>  창의적 과학문화 순위 : 22위(’12) → 15위(’17) 2012 16 2017 2017 2012 2017
  • 18. High 3. 중장기 창의역량 강화 <국가발전의 중추거점으로 출연(연) 육성>  출연(연) 사업비 중 융합연구비 비중 : 8.0%(’13) → 15.0%(’17)  출연금 대비 중소기업 공동연구사업비 비중 : 7% (’12) → 15.0%(’17) 2013 2017 2012 2017 <과학기술 글로벌화>  연구원 천명당 국제공동특허 수 : 0.39건(’12) → 0.50건(’17)  국제협력 순위(COSTII) : 16위(’12) → 10위(’17) 2012 <새로운 지역 혁신체계 구축>  지역 연구개발 투자 확대 및 자율성 강화 17 2017 2012 2017
  • 19. High 4. 신산업 창출 지원 <중소∙벤처기업 기술혁신 지원>  정부 R&D예산 대비 중소기업 투자비중 : 12.4%(’12) → 18.0%(’17)  중소기업 기술경쟁력 (세계 최고수준 대비) 2012 : 75%(’12) → 85%(’17) 2017 2012 2017  성장 단계 별 맞춤형 지원체계 마련 <기술이전∙사업화 촉진>  공공연구기관 기술이전율 : 26.0%(’12) → 34.0%(’17) 2012 18 2017
  • 20. High 4. 신산업 창출 지원 <지식재산 생태계 조성>  연간 국제특허수 (삼극특허) : 2,223건(’12) → 3,000건(’17)  민간의 직무발명 제도 도입율 : 43%(’12) → 70%(’17) 2012 <신시장 개척 지원>  융합기술∙제품 개발 촉진  서비스 연구개발 지원 강화  혁신적 기술∙제품의 수요창출  기술규제 혁신 19 2017 2012 2017
  • 21. High 5. 과학기술 기반 일자리 창출 <창업주체별 지원체계 구축>  창업활동지수 : 7.8%(’11) → 10.0%(’17) * 18~64세 인구 중 현재 창업을 준비 중이거나 3개월 이상 42개월 미만의 신생기업을 소유/경영하고 있는 비율 2011  전주기 창업교육모델 마련∙운영 20 2017
  • 22. High 5. 과학기술 기반 일자리 창출 <기술창업 생태계 조성>  투자 회수 및 재도전 지원  기술과 아이디어 기반 자금조달 촉진 <새로운 과학기술 일자리 창출>  과학기술인력 일자리 창출 : 605만 명(’12) → 669만 명(’17) (64만 명 ↑) 2012  산업 분야 전문가 양성과 新직업군 창출 21 2017
  • 23. 추진과제 (밑줄은 중점과제) High1 국가연구개발 투자 확대 및 효율화 1 국가연구개발 투자 확대 및 효율화 • 총연구개발 투자 지속확대 • 연구주체 간 역할정립 • 연구개발 투자시스템 효율화 • 선도형 기획, 관리, 평가시스템 구축 • 과학기술 인프라의 개방과 공유 활성화 • 미래에너지와 자원 확보․활용 High2 국가전략기술개발 2 • 보건∙ 의료 글로벌 시장 선점 ICT 융합 신산업 창출 • 농림축산 고부가가치화 • 우주∙항공∙국방`의 성장동력화 • SW∙인터넷 신산업 육성 • 해양∙수산의 미래산업화 • C-P-N-D기반 ICT혁신역량 강화 3 • 문화관광 콘텐츠 첨단화 미래성장동력 확충 • 스마트 교통∙물류 시스템 구축 • 주력수출산업 고도화 6 5 걱정없는 안전사회 구축 • 선제적 자연재해 대응과 피해 최소화 • 사회적 재난 대응체계 확보 건강장수 시대 구현 4 깨끗하고 편리한 환경 조성 • 난치성 질병 극복 • 기후변화 대응력 강화 • 환자 맞춤형 의료서비스 실현 • 저출산․고령화 대응 강화 • 생활공간 편의성 향상 • 식량안보와 식품안전 향상 22 • 환경 보전∙복원 시스템 고도화 • 국토인프라 선진화
  • 24. 추진과제 (밑줄은 중점과제) High3 중장기 창의역량 강화 7 • 과학기술인이 존중받는 사회 실현 창의적 기초연구 진흥 • 중장기∙안정적 기초연구 투자 확대 • 세계 수준의 기초연구 거점 조성 • 창의적 연구환경 조성 • 기초연구 협력 및 성과확산 촉진 • 여성 과학기술인의 잠재력 활용 극대화 8 창의․융합형 인재 양성․활용 • 전략분야 국제공동연구 활성화 • 국제과학기술허브 구축 • 과학기술인 사회참여 및 연구윤리 강화 창의적 과학문화 조성 • 과학기술인재 활용 및 글로벌 유동성 확대 • 과학기술 ODA 확대 • 과학기술문화복지 및 인프라 확충 11 • 세계적 수준의 과학기술자 육성 • 글로벌 과학기술 외교 강화 • 상상∙도전∙창업 과학문화 확산 • 수요자 맞춤 프로그램 개발․보급 12 • 초중등 창의교육 강화 • 대학(원) 융합 교육・연구 역량 강화 • 국제협력 인프라 조성 새로운 지역혁신체계 구축 10 • 지역 산∙학∙연 네트워크 활성화 과학기술 글로벌화 • 지역수요에 기반한 기술개발 지원 • 지역맞춤형 인재양성과 일자리 창출 9 국가발전의 중추거점으로 출연(연) 육성 • 출연(연)별 고유미션 및 정체성 명확화 • 지역 연구개발투자 확대 및 자율성 강화 • 중소기업 지원 및 일자리 창출역량 강화 • 지역 연구개발 기획관리 역량강화 • 개방과 융합연구 촉진 • 지역 연구개발 추진체계 정비 • 자율과 책임의 출연(연) 운영체계 23
  • 25. 추진과제 (밑줄은 중점과제) 14 지식재산 생태계 조성 • 우수 지식재산 창출 체계 구축 High4 신산업 창출 지원 13 • 지식재산 권리화 및 보호 강화 중소․벤처기업 기술혁신 지원 • 지식재산 활용 촉진 • 중소∙벤처기업 중심 연구개발지원체계 구축 • 중소기업 기술혁신인프라 강화 • 지식재산 인프라 확충 • 표준특허 및 국제표준 확보 • 중소기업 우수인력 유입 및 장기재직 지원 • 성장 단계별 맞춤형 지원체계 마련 16 신시장 개척 지원 15 기술이전․사업화 촉진 • 융합 기술·제품 개발 촉진 • 시장을 고려한 기술기획 및 지원 • 서비스 R&D 지원 강화 • 사업화 초기장벽 극복지원 확대 • 혁신적 기술·제품의 수요 창출 • 기술이전 중개자 역량 제고 • 기술규제 혁신 • 사업화 촉진을 위한 개방형 혁신 활성화 High5 과학기술 일자리 확대 17 창업 주체별 지원체계 구축 18 기술창업 생태계조성 19 새로운 과학기술 일자리 창출 • 성장단계별 기술창업 지원강화 • 투자 회수 및 재도전 지원 • 과학기술분야 일자리 확대 • 공공연구기관 창업 활성화 • 기술 및 아이디어 기반 자금조달 촉진 • 정부 R&D와 일자리 연계지원 강화 • 대학의 창업기지화 24
  • 26. III. 향후 정책 추진 실효성 강화 방안 25
  • 27. 1. 국가R&D 추진주체 역할 정립 [현황]  국가경제 활력과 성장잠재력 확충을 위한 과학기술 영향력 증대하고 있으나, 2000년대 이후 기업 및 대학의 연구경쟁력 향상에 따른 상호보완적 협력적 역할 체계가 미흡  과학기술정책 진화·발전을 추격형→탈추격형→창조형으로 구분할 때 우리나라는 추격형과 탈추격형의 경계선상에 위치한다는 평가  국정 운영철학인 창조경제의 성공을 위한 창조형 국가R&D시스템으로의 전환 논의는 미흡 [실효성 강화 방안]  탈추격형, 창조형을 지향하는 과학기술정책 추진 방향성과 주요 이슈 탐색, 분석  주요 선진국 및 강소국 대상 국민소득 3만 달러 진입 전후 과학기술정책 초점, R&D 추진시스템 분석 및 시사점 도출 등 국가차원의 효율적 기술획득 전략 방안 모색  정부R&D 주체(국공립(연), 출연(연), 기초(연), 대학, 기업 등), 민간 기업 연구소 등의 효율적 미션과 역할분담, 상호간 협력방안에 대한 논의 본격화 26
  • 29. 2. 과학기술-ICT 융합 기반 강화 [현황]  과학기술-ICT 융합 본격적 추진을 위한 정책 심의 조직 연계 방안 마련 시점  2014년 2월 정보통신전략위원회 설치 예정(총리실 산하, 간사는 미래창조과학부 장관)  과학기술과 ICT 융합의 산업화를 위한 산업융합발전위원회와의 연계∙협력 체제는 부재 정보통신전략위원회(’14.2 출범 예정) [실효성 강화 방안]  상기 3개 위원회 간 협력적 연계 시스템 구축  (예) 매년 초 3개 위원회 공동 개최→전년 융합 성과 점검, 당해년도 활성화 방안 발표 등  협력적 융합 정책관리 거버넌스 구축을 위한 정책 네트워크 강화  정책수요자 입장이 고려된 단계별 융합 지원 정책 제시  기술융합 로드맵 매니지먼트 프로세스 구축  여러 부처가 융합 R&D 단계 별 연계가 유기적으로 이뤄지도록 로드맵 작성 28
  • 30. 3. 한국형 창업생태계 조성 [현황]  창조경제 실현을 위한 창업 활성화가 이슈로 대두되면서 다양한 창업정책과 선진국 벤치마킹 결과 들이 다양하게 제시  그러나 주요 창업 선진국의 단편적 정책만 제시될 뿐 구체적 모델과 생태계 생성과정 논의 등은 부재한 실정  그간 창업 성과와 역량 분석을 통한 고유 창업 생태계 모델이 부재하고, 창업자 관점에서의 창업 생태계 구축 노력 부족 [실효성 강화 방안]  그간의 우리나라 창업 정책, 환경, 역량 분석 등을 통해 우리나라 현실을 반영한 창업자 관점의 창업 생태계 설계 추진  산업구조, 경제발전경로, 그 간의 창업 정책 성과분석 등을 통한 향후 창업 정책과 주변환경을 포함한 생태계 설계 추진  자생력 높은 창업생태계 구축을 위한 예비창업자 중심의 제도 구축과 시장 메커니즘을 저해하는 정책 정비  창업생태계 조성을 위한 민-관 역할 논의와 정책 및 사업 간 연계체제 구축 29
  • 31. 4. 효율적 성과 창출과 기초연구 저변확대를 위한 투자 포트폴리오 구축 [현황]  국정과제를 통해 2017년까지 정부 R&D 예산 가운데 기초연구 투자 비중 40%를 제시  ‘기초연구진흥종합계획’ 수립(2013.7)  최근 IBS로의 대규모 지원 확대와 중견연구자 지원 축소 등에 대한 논란 등이 발생  기초연구 중요성 강조에 비해 연구현장의 기초연구 투자 확대 체감도는 낮은 실정 [실효성 강화 방안]  우리나라 기초연구 투자 철학 및 목표의 명확화와 이에 적합한 포트폴리오 논의 본격화  리더연구자지원, 선도연구센터 등 관련 사업의 포지셔닝 및 연계∙발전방안 모색  정부 R&D 기초연구비 비중 산정방식 개선 논의  해외 우수연구자와의 네트워킹 및 협력연구 추진 체계 강화 30
  • 32. 5. 과학기술분야 중장기계획 연계성 강화 [현황]  제3차 과학기술기본계획의 정책 방향에 맞춘 기존 중장기 계획 간 연계성 제고, 내용 및 실행방안 체계화 등 전반적 정비 필요(2012년 기준 17개 부처 추진 계획은 총 113개)  현정부 들어 창조경제 후속조치 등 다양한 중장기계획이 신규로 수립 [실효성 강화 방안]  기본계획 해당 분야별 대표 중장기 계획을 지정하고 연계성 강화  기본계획 19개 분야와 관련하여 미래성장동력, 국제협력, 일자리 지원 등 분야에서 신규 계획 수립 및 창조경제 관련 계획과의 연계 강화를 통한 실효성 확보 제3차 과학기술기본계획 High 1 연구성과 관리 활용계획 High 2 (가칭) 미래성장 동력계획 (가칭) 사회문제 해결 종합 실천계획 High 3 기초연구 진흥종합 계획 과학기술 인재육성 지원계획 (가칭) (가칭) 공공연구 국제협력 기관 종합 기본계획 발전계획 High 4 지방과학 기술진흥 종합계획 31 중소기업 기술혁신 촉진5개 년계획 국가지식 재산기본 계획 산업기술 혁신 5개년 계획 High 5 산업융합 발전기본 계획 국가융합 기술발전 기본계획 (가칭) 과학기술 기반 일자리전략
  • 33. [참고] 과학기술분야 중장기계획 현황  (총 괄) 과학기술분야 중장기 계획은 18개 부처 111개 계획으로, ’09년 93개, ‘10년 105개 계획에서 6개 계획이 증가 ※ 부처별:지경부 29개, 교과부 26개, 국토부 12개 등, 수립근거:법정 72/비법정계획 31개  (확정기구) 국과위 심의 38개*(34.2%), 자체 심의 73개(65.8%) ※ 부처별 : 교과부 10, 지경부 6, 국토부 5개 등, 수립근거:법정 29, 비법정계획 9개  (분 야 별) 과기정책분야 27개(24.3%), 기술개발분야 84개(75.7%) ※ 기술개발분야 : 생명 24, 에너지환경 19, 전자‧정보통신 12개 등의 순 ○ (과학기술정책분야) (’08) 26개→(’09) 32개→(’10) 33개→(’11) 27개 계획 ※ 8대 정책분야로 구분(① 인력양성, ② 기초원천연구, ③ 중소벤처 기술혁신, ④ 국제화, ⑤지역 기술혁신, ⑥ 과학기술 하부구조, ⑦ 과학기술 문화, ⑧ 투자확대 및 효율화) ○ (기술개발분야) (’08) 57개 → (’09) 61개→ (’10) 72개 → (’11) 84개 계획 ※ 「과학기술표준분류」 등에 따른 8개 기술 분야로 구분(①융합, ②생명, ③나노/소재, 공정, ⑥에너지/환경, ⑦우주/항공/해양, ⑧건설/교통/안전) 32 ④전자/정보통신, ⑤기계/제조
  • 34. (1) 정책분야 ※ 점선으로 표시된 계획은 조사․분석대상에서 제외된 계획이나 계획간 연계되어 추진되는 계획 ※ 실선으로 연결된 계획은 계획간 일부 내용이 연계되어 추진되는 계획들을 의미 33
  • 35. (2) 기술분야 ① 산업 디자인 진흥종합계획, 디자인 산업육성 종합계획 ② 국가 감염병 위기대응 기술개발 추진전략, 암정복 10개년계획, 한의약R&D 중장기 육성∙발전계획, 한의약육성 발전계획, 환경보건종합계획, 생명산업2020+발전전략 ③ 식물검역기술 개발종합계획, 국립수산과학원 중장기 연구종합계획, 식품산업R&D 중장기계획, 식품산업진흥 기본계획, 수의과학기술 개발연구사업 중장기계획, 종자산업육성 중장기계획 ④ 클라우드컴퓨팅 활성화 종합계획, 차세대(4G) 모바일 주도권 확보전략, 미래를 대비한 인터넷 발전계획 ⑤ 시스템반도체 장비산업 육성전략, IT 네트워크장비산업 발전전략, SW-시스템반도체 동반 육성전략, 이러닝산업 발전 및 활성화 기본계획 ⑥ 엔지니어링 산업진흥 기본계획 ⑦ 2020 해양과학기술(MT)로드맵, 남극연구활동 진흥 기본계획 ⑧ 건설교통R&D중장기계획, 국가교통기술 개발계획, 건설환경 기본계획 ⑨ 지진∙지진해일 감시기술 발전을 위한 Safety Area From Earthquake 비전2012, 소방방재청 국가연구개발사업 중장기계획
  • 36. 6. 과학기술 기반 고품질 일자리 창출 [문제 제기]  정부는 고용률 70% 달성을 위해 「고용률 70% 로드맵」 추진  고용률 70% 로드맵은 전문과학 및 기술분야의 추가 일자리 목표 18.3만개 제시 [실효성 강화 방안]  과학기술 정책 추진을 통해 창출되는 일자리는 고품질 일자리에 집중  추세에 따르면 2017년까지 과학기술일자리 총 30만개 자연 증가 전망  정책 추진으로 추가되는 일자리는 기술 기반으로 양질의 일자리 창출  일자리 창출을 주요 정책요소로 고려하는 연구개발 패러다임 변화 추구  정부 연구개발사업과 고용 연계 강화  산∙학 협력 기반의 연구인력 양성과 고용 촉진  일자리 수급 불균형 해소를 위한 정책 기반 마련 35
  • 37. 7. 과거 정부와의 과학기술정책 연속성 확보 지식경제 혁신경제 녹색경제 창조경제 (국민의 정부) 구분 (참여정부) (MB정부) (박근혜정부) 차세대성장산업(6T)  IT(정보기술)  BT(바이오기술)  NT(나노기술) 신성장  ET(환경기술) 동력산업  CT(문화기술) (주력기술)  ST(우주기술)  실험실 교수창업 허용  창업문턱을 낮춤: 창업자본을 2,000만원으로 낮춤  벤처 건전화 방안 마련, M&A 활성화 정책 구축  벤처기업확인제도 도입: 세무조사 면제, 특별보증, 정책자원 지원 등 지원 정책 신성장동력           지능형로봇 지능형홈네트워크 미래형자동차 디지털콘텐츠/SW솔루션 차세대반도체 차세대전지 디지털 TV/방송 바이오신약/장기 차세대이동통신 디스플레이    벤처촉진지구 도입: 지방벤처 육성  차세대성장동력  외국인 벤처기업 주식 취득한도 폐지  양도차익에 대한 비과세 조치  크스닥 등록, 퇴출제도 개편, 벤처 등 주식매각 제한 제도 개선 3대 분야 17개 신성장동력 녹색기술산업(6개)  첨단융합산업(6개)  고부가서비스산업(5개)  신성장동력 20개 기술(기존 17개 기술에 세일가스, 전력저장장치, K-POP 전용 공  연장을 추가 (2012. 9 신성장동력 평가보고대회) 차세대 성장동력 산업에 대해 출자총액제한 예외 인정  효율적인 온실가스 감축과 에너지 자립강화 기술 결합 시너지 효과 큰 첨단기술 분야는 기업합병, 수도권 입지 등 규제 완화  녹색기술 개발과 성장동력화  산업의 녹색화와 녹색산업 육성 중소기업의 연구인력 개발비 세액공제액 전액과 대기업 석∙박사급 연구인력 인건비에 대한 세액공제액에 대해 최저한세 적용 배제 등  정부 R&D 에산 50%를 기초∙원천연구에 투자  구매조건부 기술개발사업을 국방에서 전력∙가스∙철도로 확대: ’08년까지 10개 기관  중소기업기술혁신지원제도 (KOSBIR)를 통한 공공기관의 중소기업 R&D 지원 강화 및 이행력 제고  중소기업진흥및산업기반기금 등으로 1조원의 벤처투자 재원을 조성해 기술혁신형 중소∙벤처기업의 창업 및 성장지원 등 엔젤투자조합 설립을 등록제로 전환     과학기술과 아이디어·상상력 융합 신산업 창출(신성장동력, 사회이슈해결, 실용기술 활용, 과학기술 서비스, 거대·전략 기반산업 등)(국정과제 1번) 36  창조경제 생태계 구축  일자리 창출을 위한 성장동력 강화  중소기업의 창조경제 주역화  창의와 혁신을 통한 과학기술 발전  원칙이 바로선 시장 경제  성장을 뒷받침하는 경제 운영  정부 R&D 예산 40%를 기초연구에 투자
  • 38. 지식경제 혁신경제 녹색경제 창조경제 (국민의 정부) 구분 (참여정부) (MB정부) (박근혜정부) IT 강국 벤처산업 육성  방향  정보화를 통한 지식강국을 지향하고자 초고속인터넷 보급과 벤처 육성을 통한 IT 강국 구현 및 벤처산업 육성 외환위기 대안으로 기반으로 기술개발 추구하는 추구 극복을 위한 정보통신기술을 한 벤처 중소기업의 및 생산성 향상을 경제체제로의 변화 전자정부 구축  주요 계획 및 목표 수행조직  스마트폰 등 모바일 중심의 스마트시대를 선도하고, 정부의 대국민 소통 활성화 및 일하는 방식의 선진화 구현 벤처 육성(IT 중심)2002년까지 2만개의 벤처 기업을 육성하여 40만개의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 국가과학기술혁신체계(NIS) 구축과 국가균형발전 추구  일자리 중심의 창조경제   창의력 및 상상력과 과학기술·ICT 융합을 통한 새로운 시장과 산업 육성으로 양질의 많은 일자리 창출을 위한 경제 패러다임의 변화  고용과 국민복지 두 마리 토끼 잡기 혁신주도형 경제성장을 견인할 국가 과학기술 혁신체계 구축을 적극 추진  경제와 환경의 조화, 균형성장 국토의 불균형적 성장 결과를 보완할 수 있는 대안으로 국가균형발전을 주요 정책 방안으로 제시하고 추진 국가과학기술혁신체계(NIS) 구축 방안  5대 혁신분야 30개 중점과제 국가균형발전5개년계획  성장과 지속가능성을 동시에 추구하는 녹색기술과 청정에너지로 신성장동력과 일자리를 창출하는 미래 새로운 경제성장(신국가성장) 패러다임 추구 녹색성장국가전략 및 5개년 계획  세계적 혁신클러스터 육성, 지역균형적 산업발전 계획, 네트워크형 국토구조 형성 등 2020년까지 세계 7대, 2050년까지 세계 5대 녹색 강국 진입   녹색성장위원회 2017년까지 일자리 238만개 창출, 고용률 70% 달성 녹색기술산업을 신성장동력 산업으로 육성 과학기술중심사회추진기획단  10대 정책방향  창조경제 실천계획  전자정부특별위원회   벤처기업활성화위원회  국가과학기술위원회  미래창조과학부 IT 벤처 육성, 신성장동력, 사회적 문제 해결을 통한 일자리 창출 등은 기존 국가 경제 및 과학기술 정책의 연장선상에 있으며, 창조경제의 실현을 위해서는 과거 정책의 객관적 리뷰가 필요 37
  • 39. 감사합니다. 제3차 과학기술기본계획 최종보고서는 미래창조과학부 홈페이지 (www.msip.go.kr) ‘통합검색’에서 검색하면 다운로드 받으실 수 있습니다.